본문 바로가기

healthy

ADHD와 조울증(양극성장애) 구분법: 증상, 예시, 차이점 완벽 정리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조울증(양극성장애)은 주의력 저하, 충동성, 기분 변화 등에서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발병 시기, 증상 지속성, 기분 변화 패턴 등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ADHD와 조울증의 구체적인 구분 방법을 실제 예시와 함께 안내합니다.

1. ADHD와 조울증(양극성장애)의 핵심 차이점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조울증(양극성장애)
발병 시기 소아기~청소년기, 만성적 주로 청소년 후기~성인, 삽화적
증상 지속성 일관적, 만성적 삽화적, 주기적 반복
기분 변화 원인 외부 자극, 환경 내적 요인, 삽화
수면 변화 잠들기 어려움, 리듬 불안정 삽화별 극단적 변화
충동성 일상적, 반복적 삽화적, 과대망상 동반
정신병적 증상 드물다 조증 시 환각, 망상 가능
 

2. ADHD와 조울증, 구체적 예시로 구분하기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예시

  • A군(초등학생):
    어릴 때부터 산만하고, 수업 시간에 집중하기 어려우며, 자주 물건을 잃어버립니다. 이러한 증상이 항상 일관되게 지속되며, 특별한 이유 없이 반복됩니다.
     ADHD는 만성적, 일관적으로 나타납니다.
  • C양(중학생):
    친구와 다툰 뒤 갑자기 기분이 나빠졌지만, 시간이 지나면 금방 회복됩니다. 기분 변화가 외부 자극에 민감하고, 하루에도 여러 번 변할 수 있습니다.
     ADHD의 기분 변화는 짧고, 환경에 민감합니다.

조울증(양극성장애) 예시

  • B씨(대학생):
    평소에는 정상적으로 지내다가, 갑자기 1주일 넘게 잠을 거의 자지 않고도 에너지가 넘치고, 말이 많아지고, 자신감이 넘쳐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큰 돈을 빌립니다. 이후 한 달쯤 지나면 갑자기 침대에서 나오지 못하고, 우울감에 빠집니다.
     조울증은 조증(또는 경조증)과 우울증 삽화가 교대로 반복됩니다.
  • D씨(직장인):
    아무런 이유 없이 2주간 계속해서 기분이 들떠 있고, 자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과대망상까지 생깁니다. 이후 또 한 달간 우울감에 빠져 일상생활이 힘들어집니다.
     조울증의 기분 변화는 내적 요인에 의한 삽화적, 강렬함이 특징입니다.

3. 수면 변화와 충동성 차이

ADHD 수면 변화 예시

  • E군(초등생):
    잠들기 전 생각이 많아 1~2시간 뒤척이지만,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할 뿐 실제 수면 시간은 충분합니다.
     ADHD는 잠들기 어렵고, 수면 리듬이 불안정합니다.

조울증 수면 변화 예시

  • F씨(성인):
    조증 시에는 하루 2~3시간만 자도 피곤하지 않고, 우울증 시에는 12시간 이상 자도 무기력합니다.
     조울증은 삽화에 따라 수면 욕구가 극단적으로 변동합니다.

ADHD 충동성 예시

  • G군(중학생):
    수업 중 갑자기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충동적으로 친구에게 말을 겁니다. 이런 행동이 일상적으로 반복됩니다.
     ADHD의 충동성은 지속적, 일상적입니다.

조울증 충동성 예시

  • H씨(성인):
    조증 시기에 갑자기 차를 사겠다며 대출을 받고, 낯선 사람들에게 접근해 유흥비를 씁니다. 이 행동은 조증 삽화 기간에만 나타납니다.
     조울증의 충동성은 삽화적, 과대망상 동반 가능합니다.

4. 정확한 진단을 위한 전문가 상담 필요

ADHD와 조울증은 증상이 겹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가족력, 병력, 증상의 지속성과 패턴을 전문가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혼동하기 쉬운 두 질환의 차이를 이해하면, 보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가능합니다.